본문 바로가기
STM32

STM32 CUBE IDE 개발환경 구축하기

by 꼬맹님 2025. 4. 10.
반응형

STM32 CUBE IDE 개발환경 구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STM32 마이크로컨트롤러(MCU)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 필수인 STM32 CUBE IDE 개발환경 구축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STM32 CUBE IDE는 STMicroelectronics에서 제공하는 공식 통합 개발 환경(IDE)으로, 코드 작성, 디버깅, 빌드, 펌웨어 설정까지 모두 한 곳에서 할 수 있어 STM32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설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STM32 CUBE IDE 다운로드

  1. STMicroelectronics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페이지 중간에 보이는 Get Software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회원가입 및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계정이 없으면 간단히 가입해 주세요.
  4. 사용하는 운영체제(Windows, Linux, macOS)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Tip: 가끔 사이트에서 개인정보 확인을 위해 몇 가지 질문에 답해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2. 설치하기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면, 설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1. 라이선스 동의(Agree)에 체크하고 다음(Next)을 누릅니다.
  2. 설치 경로를 설정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기본 경로를 추천합니다.)
  3. 필요한 컴포넌트(예: ST-LINK 드라이버 등)를 선택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4. 설치가 완료되면 IDE를 실행합니다.

💡 Tip: 설치 과정 중 함께 설치되는 ST-LINK 드라이버는 디버깅 시 필수이므로 꼭 설치해 주세요.


3. 초기 설정

처음 STM32 CUBE IDE를 실행하면 워크스페이스(Workspace) 폴더를 지정하라는 창이 뜹니다.

  • Workspace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기본 폴더입니다.
  • 원하는 폴더를 선택하고 Launch 버튼을 누릅니다.

추가로, 자동 업데이트 체크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최신 패키지를 받아 설치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4. STM32 프로젝트 생성해보기

개발환경 구축이 끝났다면, 간단한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볼까요?

  1. 상단 메뉴에서 File > New > STM32 Project를 선택합니다.
  2. 연결된 보드를 선택하거나 MCU를 검색해서 선택합니다.
  3. 프로젝트 이름과 경로를 설정한 뒤 Finish를 누릅니다.
  4. STM32 CUBEMX 설정창이 자동으로 열립니다. 여기서 핀맵, 클럭, 미들웨어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기본적인 코드가 자동 생성되고, 바로 빌드하거나 디버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해서 STM32 CUBE IDE 개발환경 구축을 마쳤습니다.
STM32는 처음 진입할 때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개발환경만 잘 갖추면 프로젝트를 빠르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간단한 LED 깜빡이기 예제를 만들어보는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

궁금한 점이나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