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휴대폰의 자판은 컴퓨터 키보드 자판과는 다르게 하나의 키에 여러 개의 문자가 할당될 수 있습니다. 키 하나에 여러 문자가 할당된 경우, 동일한 키를 연속해서 빠르게 누르면 할당된 순서대로 문자가 바뀝니다.
예를 들어, 1번 키에 "A", "B", "C" 순서대로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면 1번 키를 한 번 누르면 "A", 두 번 누르면 "B", 세 번 누르면 "C"가 되는 식입니다.
같은 규칙을 적용해 아무렇게나 만든 휴대폰 자판이 있습니다. 이 휴대폰 자판은 키의 개수가 1개부터 최대 100개까지 있을 수 있으며, 특정 키를 눌렀을 때 입력되는 문자들도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또, 같은 문자가 자판 전체에 여러 번 할당된 경우도 있고, 키 하나에 같은 문자가 여러 번 할당된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아예 할당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몇몇 문자열은 작성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휴대폰 자판을 이용해 특정 문자열을 작성할 때, 키를 최소 몇 번 눌러야 그 문자열을 작성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번 키부터 차례대로 할당된 문자들이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배열keymap과 입력하려는 문자열들이 담긴 문자열 배열targets가 주어질 때, 각 문자열을 작성하기 위해 키를 최소 몇 번씩 눌러야 하는지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목표 문자열을 작성할 수 없을 때는 -1을 저장합니다.
제한사항
1 ≤keymap의 길이 ≤ 100
1 ≤keymap의 원소의 길이 ≤ 100
keymap[i]는 i + 1번 키를 눌렀을 때 순서대로 바뀌는 문자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keymap[0]= "ABACD" 인 경우 1번 키를 한 번 누르면 A, 두 번 누르면 B, 세 번 누르면 A 가 됩니다.
keymap의 원소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keymap의 원소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1 ≤targets의 길이 ≤ 100
1 ≤targets의 원소의 길이 ≤ 100
targets의 원소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keymap | targets | result |
["ABACD", "BCEFD"] | ["ABCD","AABB"] | [9, 4] |
["AA"] | ["B"] | [-1] |
["AGZ", "BSSS"] | ["ASA","BGZ"] | [4, 6]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ABCD"의 경우,
1번 키 한 번 → A
2번 키 한 번 → B
2번 키 두 번 → C
1번 키 다섯 번 → D
따라서 총합인 9를 첫 번째 인덱스에 저장합니다.
"AABB"의 경우,
1번 키 한 번 → A
1번 키 한 번 → A
2번 키 한 번 → B
2번 키 한 번 → B
따라서 총합인 4를 두 번째 인덱스에 저장합니다.
결과적으로 [9,4]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B"의 경우, 'B'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을 첫 번째 인덱스에 저장합니다.
결과적으로 [-1]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ASA"의 경우,
1번 키 한 번 → A
2번 키 두 번 → S
1번 키 한 번 → A
따라서 총합인 4를 첫 번째 인덱스에 저장합니다.
"BGZ"의 경우,
2번 키 한 번 → B
1번 키 두 번 → G
1번 키 세 번 → Z
따라서 총합인 6을 두 번째 인덱스에 저장합니다.
결과적으로 [4, 6]을 return 합니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bool.h>
#include <stdlib.h>
int* solution(const char* keymap[], size_t keymap_len, const char* targets[], size_t targets_len) {
int* answer = (int*)malloc(targets_len * sizeof(int));
int key_arr[26];
int i, j;
for (i = 0; i < 26; i++) {
key_arr[i] = -1;
}
for (i = 0; i < keymap_len; i++) {
j = 0;
while (keymap[i][j] != '\0') {
int arr_num = keymap[i][j] - 'A';
if (key_arr[arr_num] == -1 || key_arr[arr_num] > j+1) {
key_arr[arr_num] = j+1;
}
j++;
}
}
for (i = 0; i < targets_len; i++) {
answer[i] = 0;
j = 0;
while (targets[i][j] != '\0') {
int arr_num = targets[i][j] - 'A';
if (key_arr[arr_num] == -1) {
answer[i] = -1;
break;
}
else {
answer[i] += key_arr[arr_num];
}
j++;
}
}
return answer;
}
코드의 주요 흐름
1. 키 배열 초기화(key_arr)
대문자 알파벳 26개를 나타내는 배열 key_arr를 생성하고, 각 값을 -1로 초기화합니다.
key_arr는 각 문자(A~Z)가 키를 누르는 최소 횟수를 저장합니다.
2. keymap처리
주어진 keymap배열을 순회하면서 각 문자에 대해 최소 누름 횟수를 계산합니다.
keymap[i][j]에서 문자에 해당하는 배열 인덱스(arr_num = keymap[i][j] - 'A')를 계산합니다.
key_arr값을 갱신하는 조건:
기존 값이 -1일 경우 (아직 설정되지 않은 문자).
현재 누름 횟수가 기존 값보다 작을 경우.
3. targets처리
목표 문자열 배열 targets를 순회하며 각 문자열을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누름 횟수를 계산합니다.
targets[i][j]의 각 문자에 대해 key_arr값을 확인합니다.
값이 -1이면 해당 문자를 입력할 수 없으므로 결과 배열(answer)에 -1을 저장하고 중단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answer[i]에 누름 횟수를 더합니다.
4. 결과 반환:
결과 배열 answer를 반환합니다. 각 값은 해당 targets문자열을 입력하기 위한 누름 횟수 또는 입력 불가능한 경우 -1입니다.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C] Lv.1 달리기 경주 (0) | 2025.04.15 |
---|---|
[프로그래머스] [C] Lv.2 귤 고르기 (0) | 2025.04.14 |
[프로그래머스] [C] Lv.1 공원 산책 (0) | 2025.04.10 |
[프로그래머스] [C] Lv.1 기사단원의 무기 (0) | 2024.04.01 |
[프로그래머스] [C] Lv.1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 (1) | 2024.03.28 |